물가는 오르는데 유일하게 안 오르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쌀 값인데요. 정부는 낮은 농산물 가격으로 고생하는 농업인을 위해 지원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3년 기준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과 지원금 계산에 대해 알아볼게요.
Contents 닫기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 및 직불금 계산
해당 글에서는 2023년 기준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 신청 방법 그리고 직불금 조회 계산기 등에 대한 정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정보 외 통신비 환급 등 남들이 잘 모르는 환급 재테크 방법도 소개해 드리고 있으니 해당 블로그를 참고해주세요.
구분 | 내용 |
신청 시기 (온라인) | 23.02.01~28 |
방문 신청 시기 | 23.03.01~04.30 |
지원 금액 | 최소 120만 원/월 |
신청 자격 | 상세 내용 참조 |
공익직불금이란?
공익직불금이란? 정부에서 농업 활성화를 위해 중, 소규모로 농업을 행하고 있는 농업인을 지원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신청 자격만 통과하면 매월 최소 120만 원씩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이러한 공익직불금은 크게 소농직불금과 면적직불금 두 가지 방식으로 농업인을 지원하게 됩니다.
소농직불금
소농직불금은 0.5ha 이하 작은 면적을 경작하는 소규모 농업인을 지원하는 직불금입니다. 선정되면 매월 120만 원 지원 받을 수 있고요. 신청 자격은 면적직불금과 비교했을 때 좀 더 까다로운 편입니다.
면적직불금
면적직불금은 경작 면적에 따라 평당직불금을 지원 받는 제도입니다. 소농직불금을 받지 못할 때 해당 제도 이용할 수 있고요. 면적직불금은 논 또는 밭 그리고 진흥/비진흥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공익직불금 신청 시기
- 온라인 신청 기간 : 23년 2월 1일 ~ 28일 (1개월 간)
- 방문 신청 기간 : 23년 3월 1일 ~ 4월 30일 (2개월 간)
2022년 공익직불금은 3월 14일부터 신청을 받았었는데요. 2023년은 1개월 더 빨라졌습니다. 방문 신청의 경우 추가 제줄 서류가 필요할 수 있으니 온라인 신청을 권장드리고요.
신규 신청자, 농업 법인의 경우에는 온라인 신청이 불가하고 방문 신청만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공익직불금 지급 시기는 신청자 서류 및 농지 검토 후 23년 11월 중에 지급 예정이에요.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
공익직불금을 신청하려면 공통 자격을 만족하셔야 하고요. 소농직불금은 여기서 추가적인 신청 자격을 만족하셔야 지원금 받을 수 있습니다.
공통 자격
구분 | 내용 |
필요 조건 | 농업 외 소득 3,700만 원 이하 농지 내 거주자 |
선택 조건 | 영농 후계자 영농 후계 육성 대상자 16 ~ 22년 중 직불금을 1회 이상 수령한 자 신규 가입 농업인 (1년 이상 경작) |
여기서 필수 조건은 무조건 만족시켜야하는 자격이고요. 선택 조건은 상기 4가지 조건 중 하나만 만족시키면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을 충족하게 됩니다.
구분 | 농지 면적 | 연간 판매액 |
개인 | 0.1 ha 이상 | 120만 원 |
법인 | 5 ha 이상 | 45백만 원 |
상기 공통 자격을 만족시켰다면 개인/법인별로 농지 면적 또는 연간 판매액 기준 둘 중에 하나만 만족시키면 최종적으로 공통 수급 자격을 통과하게 됩니다.
여기서 1ha는 ㎡ 딘위로 환산하면 가로 100m * 세로 100m 총 10,000 ㎡를 뜻합니다.
소농직불금 신청 자격
위 공통 신청 자격을 충족한 후 위 5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셔야 소농직불급 수급 대상이 됩니다. 해당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했다면 면적단위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면적직불금으로 신청 시면 돼요.
공익직불금 계산 방법
소농직불금의 경우 120만 원/월로 고정되고요. 면적직불금만 각 면적 구간별로 차등하게 지원금이 계산됩니다. 정확한 공익직불금 조회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세요.
☞ 직불금 계산기 바로 가기 (농림사업정보시스템 홈페이지)
공익직불금 신청방법
공익직불금 신청방법은 2022년과 동일합니다. 신청 시 준비 서류 및 온라인 신청 방법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공익직불금 온라인 신청 방법 및 방문 신청 시 준비 서류 (2022, 기본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