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에 비상금 대출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쉽게 나오고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비상금 대출은 한정되어 있습니다. 제가 써봤던 비상금 대출 중 쓸만했던 게 바로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입니다.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일반적인 대출과 조금 다른 성격의 상품인데요. 오늘은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진짜 편한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진짜 편한 이유
보통 비상금 대출하면 대학생 같은 무직자도 편하게 받을 수 있는데요. 일반적인 비상금 대출의 경우 본인이 무직자이면 가족, 재산, 신용등급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조금 다릅니다.
1. 통신등급으로 대출 여부를 판단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통신 3사의 통신 등급을 활용해 대출 여부를 판단합니다. 즉,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통신요금만 연채 하지 않았다면 누구나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우리은행 어플인 위비뱅크에 자신의 핸드폰 번호만 넣으면 신용등급 하락 없이 대출한도를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이것도 정말 편하죠.
2. 제출 서류가 필요 없다.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제출 서류가 따로 필요 없습니다. 필요 서류는 통신 등급 서류인데요. 은행에서 통신사에 직접 요청합니다. 그래서 대출자는 정보 제공 동의만 해주면 끝입니다.
3. 대출 신청 방법이 간단하다.
대출 신청 방법이 다른 대출 상품에 비해 간단합니다. 은행 방문 필요 없습니다. 우리은행 어플인 위비 뱅크만 있으면 그 자리에서 대출 가능 여부 알 수 있습니다.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신청방법
- 위비뱅크 어플 다운로드 및 접속
- 우측 상단 더보기 버튼 클릭
- 금융상품 → 우리 비상금 대출 클릭
- 휴대폰 본인 인증 후 한도 확인하기
- 대출받기
우리은행 계좌 및 회원가입이 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신청방법입니다.
4. 한도대출이라 사용 안 하면 이자 발생 안 한다.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한도대출입니다. 일명 마이너스 통장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마이너스 통장은 특성상 통장에서 돈을 빼서 쓰지 않으면 대출 이자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용한 기간만큼 대출이자 내면 되기 때문에, 이자도 저렴하고 대출 상환 방법도 다른 통장에 비해 쉬운 편입니다.
마이너스 통장 개설시 모르면 손해보는 핵심 정보
취직하면 기본적으로 마이너스 통장 개설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쉽게 돈 빌릴 수 있고, 안 쓰면 이자가 따로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죠. 하지만 마이너스 통장 개설 시 막 만들면 손해 봅니다. 오
za-ryong.tistory.com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거절 후기
이렇게 대출 신청과 관리가 편한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가끔 거절이 뜨는 경우 발생합니다. 그러한 후기에 대해서 모아봤는데요. 일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절 후기
- 통신사 알뜰폰 통신사 사용하는 경우 (통신 3사 통신 등급을 알 수 없는 경우)
- 기존 대출 금액이 많은 경우
- 기존 대출 건수가 많은 경우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 거절 시 해결방법
우리은행 비상금 대출은 통신 등급을 바탕으로 대출을 실행합니다. 그래서 통신 등급 서류가 따로 없는 알뜰폰 통신사 사용자의 경우 대출받기 어렵습니다. 이럴 땐 카카오 뱅크 비상금 대출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기존 대출 금액이 많거나 건수가 많으면 비상금 대출이 안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럴 때는 대출건수를 줄여주거나 저금리로 통합해줘야 하는데요. 핀다(finda)라는 어플이 있습니다.
핀다 어플 통해서 대출받으면 핀다 전용 금리 인하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기존 대출을 저금리로 바꿔주거나 통합해야 추가 대출받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 후기 : 이자, 조건, 상환, 거절
최근에 공모주 청약 진행하면서 자금이 필요할 일이 생겼습니다. 단기간 쓸 자금이라 카카오 비상금 대출받아봤는데요. 생각보다 빨리 받아서 깜짝 놀랐습니다. 오늘은 카카오뱅크 비상금 대출
za-ryong.tistory.com
햇살론 유스 자격 조건과 신청방법 (은행 비교)
지금 열심히 취업 준비하고 계시는 대학생, 취준생 여러분 요새 취업하기 참 힘드시죠? 부모님께 손벌리기 힘들다면 학원비나 생활자금때문에 막막할때가 있을텐데요. 이러한 청년들을 위해 정
za-ryo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