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년 7월 26일부터 파리 올림픽이 시작됩니다. 대한민국 선수단은 총 22개 종목 144명의 선수가 출전할 예정인데요. 우리 선수들의 선전을 기원하며, 오늘은 파리 올림픽 메달 연금 수령액, 지급 방식 그리고 점수 환산 방식에 대해 알아볼게요.
파리 올림픽 메달 연금
파리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면 연금을 받게 됩니다. 해당 제도의 정확한 명칭은 경기력 연구 향상 기금인데요.
올림픽 메달 획득 외에도 다양한 국제 대회에서 입상할 경우 점수를 합산하여,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선수들에게 포상금을 지급합니다.
메달 획득 시 평가 점수
올림픽 메달 연금 (경기력 연구 향상 기금)을 받을 수 있는 대회는 크게 세 종류이고요. 대회에 따라 부여되는 점수가 달라집니다.
올림픽
구분 | 금 | 은 | 동 | 4위 | 5위 | 6위 |
점수 | 90 | 70 | 40 | 8 | 4 | 2 |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면 최대 90점부터, 입상하지 못하더라도 6위까지는 최소 2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세계 선수권 대회
구분 | 대회 주기 | 금 | 은 | 동 |
점수 | 4 년 | 45 | 12 | 7 |
2~3 년 | 30 | 7 | 5 | |
1 년 | 20 | 5 | 2 |
세계 선수권 대회는 꼭 메달을 획득해야 점수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대회 주기에 따라 점수를 차등 부여하게 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월드컵, 국제 마라톤 대회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 해당되고요. 월드컵은 3위 이상 차지해야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 국제 대회
구분 | 금 | 은 | 동 |
세계 대학생 경기 대회 | 10 | 2 | 1 |
아시아권 경기 대회 | |||
세계 군인 체육 대회 | |||
럭비 아시아 선수권 대회 | 7 | 2 | 1 |
검도, 롤러스케이팅, 수상스키 등에 대한 세계 선수권 대회 입상 점수는 아시아권 경기 대회로 환산합니다. (10점, 2점, 1점)
올림픽 메달 연금 지급 방식
올림픽 메달 연금(경기력 연구 향상 기금)은 총 20점 이상을 획득했을 때 다음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식 지급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연금 수령 방식입니다. 대회가 끝난 달의 다음달부터 연금 수령자의 사망 시점까지 매월 20일에 연금이 지급됩니다.
연금 수령액의 상한액은 월 100만 원입니다.
일시금 지급
월 연금 수령 방식 대신 한번에 포상금을 수령하는 방식입니다.
특별금 지급
마지막으로 획득 점수가 20점 이하인 기타 국제 대회 (군인, 대학생, 아시아권 대회 등)에서 금메달을 획득할 경우 450만 원 특별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금 450만 원 지급 이후 총 획득 점수가 20점이 되면, 다시 일시금 또는 연금으로 전환이 되며 전에 받았던 450만 원은 공제됩니다.
점수별 지급액
연금
구분 | 30점 이하 | 100점 이하 | 110점 상한 |
10점 당 연금 상승액 | 15만 원 | 7.5만 원 | 2.5만 원 |
연금식 지급 방식은 점수 구간에 따라 3단계로 연금 상승액이 달라지고요. 점수가 높아질수록 연금 상승액은 1/2씩 줄어듭니다.
30점 이하 구간 | 10점 | 20점 | 30점 |
연금액 | - | 30만 원 | 45만 원 |
점수 | 40점 (동) | 50점 | 60점 | 70점 (은) |
연금액 | 52.5만 원 | 60만 원 | 67.5만 원 | 75만 원 |
점수 | 80점 | 90점 (금) | 100점 | 110점 |
연금액 | 82.5만 원 | 90만 원 | 97.5만 원 | 100만 원 |
20점 이상부터 연금 수령이 가능해지고요. 올림픽 금메달만 예외적으로 점수와 상관없이 연금 상한액인 1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110점 이상 점수부터는 일시금으로 금액을 환산하여 지급하게 됩니다.
일시금
일시금 | |||||||
점수 | 지급액 | 점수 | 지급액 | 점수 | 지급액 | 점수 | 지급액 |
10 | - | 60 | 50,400,000 | 110 | 78,400,000 | 160 | 106,400,000 |
15 | - | 65 | 53,200,000 | 115 | 81,200,000 | 165 | 109,200,000 |
20 | 22,400,000 | 70 (은) | 56,000,000 | 120 | 84,000,000 | 170 | 112,000,000 |
25 | 28,000,000 | 75 | 58,800,000 | 125 | 86,800,000 | 175 | 114,800,000 |
30 | 33,600,000 | 80 | 61,600,000 | 130 | 89,600,000 | 180 | 117,600,000 |
35 | 36,400,000 | 85 | 64,400,000 | 135 | 92,400,000 | 185 | 120,400,000 |
40 (동) | 39,200,000 | 90 (금) | 67,200,000 | 140 | 95,200,000 | 190 | 123,200,000 |
45 | 42,000,000 | 95 | 70,000,000 | 145 | 98,000,000 | 195 | 126,000,000 |
50 | 44,800,000 | 100 | 72,800,000 | 150 | 100,800,000 | 200 | 128,800,000 |
55 | 47,600,000 | 105 | 75,600,000 | 155 | 103,600,000 | 제한없음 |
요약
지금까지 파리 올림픽 메달 연금 지급 방식, 점수 환산 방식과 지급액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획득 점수 | 연금 (원/월) | 일시금 |
금 | 90 | 100만 원 | 67,200,000 원 |
은 | 70 | 525,000 원 | 56,000,000 원 |
동 | 40 | 825,000 원 | 39,200,000 원 |
연금 수령 방식은 건강할수록(오래 살수록), 일시금 수령 방식은 투자를 잘할수록 유리하다는 점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