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도통 오르지 않는 것은 월급과 쌀값뿐인 것 같습니다. 농업인들을 지원하기 위한 공익직불금 제도가 2월서부터 신청 접수를 받고 있는데요. 오늘은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방법, 신청 시기 그리고 준비 서류에 대해 알아볼게요.
2024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방법
2월에 공익직불금 비대면 신청을 놓치셨거나, 신규로 직불금 신청이 필요하시다면 4월 30일까지 직접 방문하여 공익직불금 신청하셔야 합니다.
직불금 신청 전 준비해야할 서류와 신청 시기 그리고 자세한 방문 신청 방법에 대해 말씀드릴 테니 아래 글을 천천히 읽고 따라와 주세요.
방문 신청 대상자
작년에 신청하셔서 대상자로 선정되셨던 분들은 24년 1월에 문자로 따로 안내받으셨을 텐데요.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대상자는 신규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들을 대상으로 방문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직불금 신청 자격은 다음 사항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 농지 내 거주자 (필수)
- 농업 외 소득 3,700만 원 이하 (필수)
- 영농 후계자 (선택)
- 영농 후계 육성 대상자 (선택)
- 과거 직불금 수령자 (선택)
- 1년 이상 경작한 신규 농업인 (선택)
이 외 최소 경작해야 할 농지의 규격과 경작 기간에 대한 기준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방문 신청 시기 및 장소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시기는 24년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접수받고 있습니다. 신청 장소는 가까운 주민센터 또는 동사무소에 방문하셔서 접수하셔합니다.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방법
1. 서류 준비
먼저 공익직불금을 방문하여 신청하기 위해서는 아래 4가지 서류가 필요합니다. 방문한 다음 서류 준비하려면 시간 오래 걸리고요. 서류 미비로 대상 제외 될 수 있습니다.
방문 전에 꼼꼼하게 미리 서류 준비해 가시는 것을 추천드리고요. 아래 발급처의 링크 버튼을 클릭하시면 발급 화면으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어요.
준비 서류 | 발급처 |
직불 등록 신청서 | 국가법령 정보 센터 [양식 내려받기] |
임대차 계약서 | 본인 준비 |
주민등록 등본 | 정부24 [▶ 바로가기] |
가족 관계 증명서 | 법원 증명서 발급 [▶ 바로가기] |
직불 등록 신청서 보시면 간단한 인적 사항과 임야에 대한 정보를 기재하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일단 인적 정보 등 본인이 기재할 수 있는 정보만 먼저 기재해 두세요.
2. 주민센터 또는 동사무소 방문
위에서 말씀드린 서류가 다 준비되셨다면, 해당 서류를 가지고 주민센터에 방문해 주세요. 그리고 주민센터 직원에게 직불금 신청하러 왔다고 말씀해 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주실 겁니다.
이때 직불 등록 신청서에서 기재하지 못한 임야 정보 등에 대해서 어떻게 기재해야 되는지 직원에게 문의하시면 확인하여 정보 입력에 도움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등록증 발급
신청까지 완료되면 5월에 직불금 선정 대상자에 한해 등록증을 발급합니다. 그리고 5~9월까지 실 경작 여부를 검토하여 직불금을 받게 됩니다.
받을 수 있는 예상 공익직불금 조회 방법과 지급 시기에 대해서 궁금하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2024 공익직불금 [신청 자격, 지급 시기, 신청 방법]
요약
지금까지 2024 공익직불금 방문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신규로 신청하시거나 비대면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이 방법을 통해서 신청하셔야 할 거예요.
온라인 신청은 2월까지만 할 수 있었던 만큼 온라인 신청 놓치신 분들은 방문 신청 통해서 꼭 공익직불금 신청하시고 130만 원 받아 가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