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브리피디아 코인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위키피디아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입니다. 이 코인이 만들어진 취지는 모두를 위한 백과사전을 만들어 세상을 이롭게 하는 것입니다. 기존의 위키백과나 나무 위키 같은 인터넷 백과사전의 경우 글을 작성하더라도, 보상이 없었습니다. 순수하게 자기만족을 위해 쓰는 겁니다. 그런데 이 에브리피디아 코인은 글을 쓰면 IQ (에브리피디아) 코인으로 보상해줍니다. 오늘은 에브리피디아 코인의 사업구조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브리피디아 사업구조
쉽게 생각해, 정보를 제공하면 작성자는 코인으로 보상을 받고요. 에브리피디아는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이걸로 할 수 있는 사업 무궁무진 합니다.
에브리피아 보상 시스템
어떠한 분야에 전문가가 있습니다. 그것에 대한 글을 에브리피디아에 올리면 IQ 코인으로 보상해줍니다. 즉, 글을 많이 쓰면 쓸수록 보상이 지급되는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나무 위키, 위키백과와 다른 점은 보상이 있다는 것, 이것이 정보의 질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기존 위키백과에서 활동하던 전문가들, 그리고 전업 블로거들 에브리피디아 활성화되면 이쪽으로 많이 이동할 겁니다.
광고 사업
아직 에브리피디아에는 광고가 따로 붙지 않습니다. 하지만 향후에는 붙게 될겁니다. 왜냐면 돈이 되니까요. 에브리피디아에 양질의 정보가 쌓이면, 구글, 네이버 등 검색엔진에서 노출이 될 겁니다. 에브리피디아 자체가 검색엔진이 될 수도 있겠지요. 이렇게 되면 사용자 늘어납니다. 그들의 데이터 에브리피디아가 활용할 수 있겠죠? 이러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광고를 적재적소에 넣어줄 수 있습니다. 아니면 사용자 동의하에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빅 테크 기업에 판매도 하게 되겠죠.
에브리피디아의 장점
기존의 위키백과에서 한계를 느낀 경영진이 만든 IQ 코인입니다. 그래서 위키백과보다 좋은점이 많습니다.
위키백과보다 자유로운 업로드
위키백과에는 중앙 관리자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글의 정보나 양식이 통제됩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주제가 아니거나, 정치적, 법적으로 위배되는 내용들 철저히 검열되어 자동 삭제되는 경우 발생합니다. 에브리피디아는 이러한 위키백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탈중앙화 된 방식으로 운영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정보를 중앙 관리자의 필터링 없이 접할 수 있게 됩니다.
보상 시스템으로 인한 정보 퀄리티 up
에브리피디아의 가장 큰 특징은 글쓴이에게 보상을 준다는겁니다. 원고료가 발생하니 많은 전문가들이 에브리피디아로 몰릴 테고, 정보의 질 높아질 겁니다. 향후엔 프리미엄 콘텐츠라 하여 추가 IQ 코인을 지불해야만 열람할 수 있는 정보들도 나올 수 있습니다.
친숙한 UI와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 언어
기존의 위키백과, 텍스트 중심에 상당히 딱딱한 문체 사용하죠? 그렇게 안하면 글을 올릴 수 없기 때문입니다. 즉,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뜻이죠. 그런데 에브리피디아는 SNS 형식에 사진과 구어체를 적절히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하였습니다. 최근 MZ세대의 트렌드에 맞게 개발된 거죠. 그리고 에브리피디아는 파이썬을 프로그램 언어로 사용합니다. 프로그래머들이 좀 더 쉽게 업그레이드가 가능하게끔 시스템을 구축해놨습니다.
에브리피디아의 단점
모든 시스템이 그렇듯이 장점만 있는 건 없습니다. 에브리피디아의 탈중앙화가 오히려 독이 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겹치는 정보가 많아진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에브리피디아, 글의 갯수에 따라 보상이 주어집니다. 그리고 탈중앙화 시스템입니다. 관리자가 함부로 글을 지우지 못한다는 거죠. 글쓴이 입장에서는 글만 쓰면 IQ 코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글을 등록할 테고, 글은 많이 질 테지만, 겹치는 정보들이 상당히 많아질 겁니다. 이건 에브리피디아가 풀어야 할 숙제죠.
저작권과 민감한 이슈들
기존의 위키백과는 저작권과 민감한 이슈들에 대해 관리하고 삭제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에브리피디아는 그런게 불가능합니다. 이렇게 되면 글쓴이가 온전히 이러한 부담을 짊어지고 글을 써야 합니다. 물론 이러한 일들이 자주 발생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신경 쓰이는 것은 어쩔 수 없겠죠?
느린 개발속도
에브리피디아, 개발진 좋은 취지를 가졌음에도 불구, 개발 속도는 많이 느립니다. 위키백과도 그렇고 어떻게 보면 플랫폼 사업이기 때문에 개발진보다는 사용자들이 채워나가는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플랫폼 개발이 필요한데, 이러한 부분은 다른 코인 대비 떨어진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에브리피디아 코인은 정보 열람 시스템을 통한 좋은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풀어야 할 숙제들도 많습니다. 이걸 어떻게 해결해 나가느냐에 따라 에브리피디아 코인의 가격이 결정되지 않을까 싶네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룡의 코인백서
- 웨이브 코인 백서 - 사람들이 몰라서 저평가된 코인
- 온톨로지 가스 - 떡상은 시기상조
- 아이오타(IOTA)의 함정, 투자에 유의해야하는 이유!
- 쎄타토큰(THETA) - 넷플릭스의 대항마 (탈중앙 스트리밍 서비스)
- 비트토렌트(BTT)가 오를 수 밖에 없는 이유
- CBDC의 개념과 특징 / 도입되면 더 힘들어질 수도
- 플레이댑(PLA) / 오를수 밖에 없는 이유
- 크립토닷컴체인(CRO) 단순하지만 강력한 기능의 암호화폐
- 넴 코인 상승이 쉽지 않은 이유
- 메탈코인 - 송금, 결제만해도 돈을 번다.
- 왁스코인 (WAXP) - 게임 아이템 거래 특화 코인
- 디센트럴랜드 / 부동산 살 수 있는 코인
- 헤데라해시그래프가 뜰 수 밖에 없는 이유
- 엑시인피니티(AXS) 흥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이오스(EOS) - 읽어보면 투자 못하는 코인
- 코인 풀매수 실수 방지 Tip (부록 : 코인 평단가 계산기)
댓글